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업내용

Educational Institute for Transnational History and Culture

사업계획

교육역량 강화 계획

  • 교육 핵심 목표 달성방안
    1. 퍼블릭 히스토리 등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는 새로운 교과목을 개발함으로써 역사학의 실용성을 제고하고 역사 전공자의 현실 대응 능력을 강화한다.
    2. 취업 특강을 비롯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사회와 지속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역사학 고급학위 취득자의 사회적 진출 기회를 확대한다.
    3. 비교사, 교류사, 관계사 등 지역과 시대의 경계를 넘어서는 과목을 개발함으로써 한국사와 동양사 그리고 서양사 사이에 놓인 우리 학계의 오랜 장벽을 극복한다.
    4. 정치 · 제도 · 경제 · 사회 · 문화 · 젠더 · 인종 · 환경 등 다양한 주제들을 아우르는 교육과 연구를 통해 세부전공을 넘어서서 역사를 종합적으로 사고하는 전문가를 양성한다.
  • 우수 학문후속세대 양성 방안
    1. 대학원 학위 취득과정의 다변화 : 학생 개개인의 수준과 상황에 맞는 복수의 학위 취득 과정을 제공함으로써, 역사학 전공자에게 폭넓은 선택의 기회를 부여
      • ① 통상 과정 : 석사와 박사는 각각 부여된 규정 학점 이수 후 종합고사를 통과하고 학위논문을 발표함으로써 학위를 취득
      • ② 석·박사 통합과정 : 별도의 전형을 통해 석·박사 과정 대학원생을 선발함. 이후 석·박사 과정 전반에 부여된 학점을 이수 한 후, 종합고사와 학위논문 통과를 통해 박사학위를 취득
    2. 대학원 제도 개혁
      • ① 공동지도교수제도 : 석사와 박사 과정 대학원생은 주제와 시대에 따라 복수의 지도교수 선정할 수 있으며, 공동지도교수는 우리 학과 교수나 대학 내 유관 전공학과 교수로 함. 공동지도교수의 역할은 학위 논문 지도와 조언에 국한함
      • ② 외국어 교육 강화 : 각 전공별 수요에 맞는 외국어 시험의 다변화를 통해 높은 수준의 외국어 학술 독해력을 배양
  • 초경계 역사 전문가 양성 방안
    1. 시대와 지역의 경계를 넘어서는 역사학 전공자를 양성하기 위해 대학원 과정의 전문지식영역을 한국사·동양사·서양사를 넘어 다음의 기초, 로컬, 글로벌, 퍼블릭 히스토리 4개 영역으로 재편
      대학원 과정의 전문지식영역
      영역 구분 교과목
      기초
      • 한국고대사연구1, 고려시대사연구1, 조선시대사연구1, 한국근대사연구1, 한국현대사연구1
      • 중국고대사연구, 중국중세사연구, 중국근현대사연구, 송원사연구
      • 서양근대사연구1, 서양현대사연구1
      • 학위논문연구 및 연구윤리(사학)
      로컬
      • 한국고대사연구2, 한국고대사연습1, 한국고대사연습2
      • 고려시대사연구2, 고려시대사연습1, 고려시대사연습2
      • 조선시대사연구2, 조선시대사연습1, 조선시대사연습2
      • 한국근대사연구2, 한국근대사연습1, 한국근대사연습2
      • 한국현대사연구2, 한국현대사연습1, 한국현대사연습2
      • 한국사상사연구, 한국사학사연구, 한국사학사연습
      • 중국고대사연습, 중국근세사연습, 중국근대사연습
      • 진한사연구, 북아시아사연구, 명청사연구
      • 서양근대사연구2, 서양근대사연습1
      • 서양현대사연구2, 서양현대사연습1, 서양현대사연습2
      글로벌
      • 동양경제사연구1, 동양사회사연구1, 동양사회사연구2
      • 동서교섭사연구, 동양정치제도연구, 동아국제관계사연구, 동양사특수강의
      • 서양사특수주제연구1, 서양사특수주제연구2, 서양사특수주제연구3
      • 대외관계사연구, 대외관계사연습
      • 글로컬히스토리연습1~6
      퍼블릭히스토리
      • 퍼블릭 히스토리1, 퍼블릭 히스토리2
    2. 종합시험 교과목은 기초영역, 로컬영역, 글로벌영역(또는 퍼블릭히스토리 영역)에서 각각 1과목 이상 지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석사와 박사 과정생은 학위 논문 제출 전까지 위의 각 영역에서 수강한 과목과 관련된 주제를 중심으로 종합시험을 준비한다.
    4. 종합시험을 준비할 때, 석사과정은 3과목 이상의 교과목을, 박사과정은 4과목 이상의 교과목을 선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역사학 고급학위 취득자의 사회 진출 경로 확장 방안
    1. 석·박사 통합과정 시행을 통해 연구자의 학계 및 사회 진출의 시기를 앞당김
    2.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논문 출판하는 것을 장려함으로써 대학원생의 학문적 성과를 확산하고 학계에서 경쟁력을 강화함
    3. 퍼블릭 히스토리 등 사회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과목을 신설함으로써 대중의 다양한 수요에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조응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
    4. 취업 특강의 활성화를 통해 대학원 졸업자의 사회 진출을 돕고, 학계와 사회를 연결하는 지식 생산과 소비의 네트워크를 구축함
  • 향후 대학원 수업 발전 계획
    1. 기초교육 강화
      • ① 한국사·동양사·서양사의 경계를 넘어 모든 역사학 전공자에게 공통적으로 필요한 필수과목 개발 및 교육
      • ② 역사연구 방법론, 사료해석 훈련, 논문작성 등 역사연구를 위한 기본기 교육 강화
    2. 지역연계 교육 강화
      • ① 영남 지역 연구를 위한 지역사 과목 개발
      • ② 한국과 동서양의 다양한 지역들을 비교 연구하는 과목 개발
    3. 초경계 역사 교육 강화
      • ① 글로벌 히스토리 시각에서 여러 국가들 사이의 관계 및 교류를 강조
      • ② 한국사와 동서양사를 비교하는 비교연구세미나 과목 개발
      • ③ 지역과 시대의 경계를 넘어서는 초경계 역사 과목 개발
      • ④ 세부전공의 경계 및 역사학과 그 인접학문 사이의 경계를 넘어서는 교육 강화
    4. 퍼블릭 히스토리 수업
      • ① 역사학의 사회적 응용성을 제고
      • ② 기억, 기록, 박물관, 공연, 역사콘텐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룸
      • ③ 매년 한 강좌 개설
  • 대학원생 지원
    1. 우수 대학원생 확보
      • ① 학·석사 연계 과정 실시 및 학·석·박사 통합 연계과정 도입 협의
        • 선발자에게 장학금 지급 및 프로젝트 참여 특전 부여
        • 대학원 진학 시 무시험 전형 및 입학금 면제
        • 학·석사 과정생에게 대학원 강좌 개방 (시행 중)
      • ② 대학원 연구 모임 및 세미나에 학부 고학년 학생 참여 유도
    2. 우수 외국인 대학원생 유치
      • ① 자매결연 대학의 우수 인재 유입
      • ② 해외 대학원과 교류 프로그램의 다변화 및 활성화
      • ③ 국제교류처의 지원을 통한 다양한 대외 홍보 활동
    3. 대학원 연구 환경 안정화
      • ① BK21 사업을 통한 장학금 지원 혜택
      • ② 학업 성취도에 따른 BK21 장학금 차등 지급
      • ③ 각종 교내외 장학금 혜택
      • ④ 연구실 제공
    4. 대학원생 연구 능력 진작
      • ① 학업 성취도에 준해 R.A 선발
      • ② 등재(후보)지에 논문 게재 시 성과급 지급
      • ③ 해외학술지에논문 투고를 위한 교정 지원 및 게재 시 성과급 지급
      • ④ 해외 장·단기연수를 통해 연구 능력 향상 및 국제적 소통 활성화
      • ⑤ 해외학술회의 참가 기회 확대
    5. 글로벌능력함양
      • ① 대외 교류 : 해외 협력 대학과 파견·교환 학생 프로그램 강화. 해외 소재 한국학 연구소에 연수생 파견
      • ② 글로벌 역량 강화 : 대학원 학술 영어 과정, 외국어 논문 쓰기, 영어 발표 능력 향상 프로그램 운영.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신설로 해외 취업 기회 확대. 졸업 전까지 국제적 연구 실적을 쌓고, 복수의 학술적 외국어 능력을 갖추는 것을 장려
      • ③ 국제화 기본 능력 강화 : 영어 논문 작성법 및 영어 발표 능력 향상 강좌 신설. 외국인 교수 강의 확대
      • ④ 해외 우수 대학과 교류 확대 : 학부 중심의 해외 대학과의 교류를 대학원까지 확대. 한국사 전공의 해외 우수 대학원생 유치
      • ⑤ 글로벌 개방형 강의 : 계절학기 해외 우수 교수 초빙 프로그램을 대학원으로 확대하여 대학원생 동계/하계 특별과정(Winter/Summer Special Courses) 시행
    6. 학술대회 발표 및 지원
      • ① 석사과정은 재학 중 학술대회 1회 이상 발표하도록 노력
      • ② 박사과정은 학술대회에서 2회 이상 발표하고, 국제학술대회에서 1회 이상 외국어로 발표하는 것을 권장
      • ③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는 영어 논문 작성 훈련
      • ④ 교육연구단 내의 외국인 교수의 전담 지도
    7. 대학원생 연구의 질적 향상 추구
      • ① 대학원생 학술논문의 질적 향상을 위한 내부 관리 및 검토 과정 강화
      • ② 지도교수에 의한 상시 및 수시 면담
      • ③ 집담회 등을 통한 학과 교수들에 의한 지도 기회 확충
    8. 소집단 학습 지원
      • ① 고전 및 사료 강독 소모임 권장 및 지원
      • ② 교육연구단 소속 교수들의 지도 활성화
      • ③ 외국어로 작성된 역사학 고전의 소집단 토론회 운영

연구역량 강화 계획

  • 참여교수
    1. 연구의 양적 확장보다는 질적 향상을 도모
    2. 해외 주요 연구기관과 공동연구
    3.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강좌 프로그램 및 문화재 관리 업무에 참여
  • 대학원생
    1. 대학원생 기초 학습 : 영어 능력 향상, 특수 외국어 습득, 고전 강독
    2. 학술논문 사전 지도 : 논문 투고를 위한 지도교수 및 관련 전공교수의 조언
    3. 국제 교류 확대 : 해외 저명학자 특강, 해외 연구기관과의 연구 및 연수 협력 강화